백두대간(2011.12. 17. ~ 2013. 5.4

21번째 구간(고치령-선달산-박달령-도래기재)

하진수 하진수 2013. 5. 7. 23:27

2013. 3. 16. 울산 원조산악회 백두대간 5구간특색

산행시간: 04:20-15:50(11시간 30분)

날씨: 맑음, 바람없음, - 7도 ~ + 8도

함께한 사람: 13명

 

산행구간: 고치령-(3.1km)-미내치-(4.7km)-마구령-(5.0km)-갈곶산-(1.0km)-늦은목이-(1.8km)-선달산-(5.2km)-박달령-(3.0km)-옥돌봉-(2.7km)-도래기재

산행거리: 대간거리 26.5km

 

- 산행 들머리 : 고치령,

- 좌석리에서 고치령까지(4.7㎞)는 대형차량의 통행이 되지 않으므로 좌석리에 있는 민박집의 소형차 또는

   포터 등을 이용함이 편리함

- 고치령에서 950봉까지는 오르막의 연속임.

- 950봉 직전 부근에 좌측에 난 갈림길로 가야하는데, 자칫 직진하여 알바하기 쉬움

- 950봉에서 미내치까지는 평탄한 길이며, 미내치는 표지기가 없음.

- 마구령은 표지석이 세워져 있고, 사람의 통행이 없어 한산함

- 마구령에서 늦은목이 방향은 서서히 오름길이 시작됨.

- 894봉 헬기장을 지나면 잠시 평탄하던 길이 가파른 오르막으로 이어짐.

- 급한 오르막을 다 오르고 나면 울퉁불퉁한 암릉길이 이어짐.

- 갈곶산 정상은 표지목이 세워져 있으며, 부석사 뒷산인 봉황산으로 가는 갈림길이기도 함.

- 늦은목이(800m)에서 선달산(1,236m)까지 표고차 436m인데, 그곳까지는 1.9㎞로 오르막의 연속임.

- 선달산에서 박달령 구간은 작은 오르내림을 반복하면서 서서히 고도를 낮추어 감.

- 박달령은 소백산구간과 태백산구간이 나뉘어지는 곳으로 대형 헬기장과 산신각 있음

- 박달령(1,020m)에서 옥돌봉(1,242m)까지 3㎞는 처음에는 완만하다 나중에는 가파른 오르막임,

- 박달령에서 도래기재까지 등산로는 나무에 이름표를 많이 달아 놓았으며, 특히 박달나무가 많음

- 중간 중간 수십년된 낙엽송(입갈나무) 군락지와 금강소나무가 중간중간 있음

- 옥돌봉을 지나면 진달래터널과 철쭉군락지가 있으며, 철쭉군락지 안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었다는 550년된 철쭉나무가 있음(경남 함양군 괘관산에는 1,000년된 철쭉이 있어 보호되고 있는데, 어느 곳의 철쭉이 가장 오래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음).

- 옥돌봉에서 도래기재까지 2.7㎞는 내리막의 연속임.

- 도래기재 좌측으로 도로를 따라 200m 가량 내려가면 씻을 수 있는 계곡물이 있음.

- 중간탈출로 : 마구령, 박달령

- 구간내 식수 보충장소 : 없음


백두대간 21

 

산행 전날 저녁에 중형버스 25 인승으로 소백과 태백 사이, 이른바 양백지간(兩白之間)의 남쪽 들머리인 고치령(古峙嶺)에 닿았다.

새벽 4시 30분, 산신각 좌측의 대간길을 해드랜턴 불빛에 의지하여 진행하는데, 다른 대간길과 달리 길이 많이 패여 있다.  패인사이로 눈과 얼음이 있어 자칫 잘못하면 미끄러져 다칠 가능성이 많은 산길이다. 경칩도 지나고 춘분이 며칠 남지 않았는데, 대간길의 능선은 아직 겨울이다. 기대했던 보송보송한 새싹들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고 쌀쌀한 바람은 목과 얼굴을 사정없이 때리고 지나간다. 약 1시간쯤 걸었을까, 봉우리 위 헬기장이 나타나는데, 우리팀의 선두가 보이지 않는다. 직진을 하여야 할지, 좌측으로 돌아야 할지 대간의 시그널도 보이지 않고 막막하여 2-30분을 망설이며 서성이는데, 앞서간 일행들이 허겁지겁 되돌아 온다. 봉우리를 오르기 전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가야하는데, 어둠과 잔설로 인해 대간길을 보지 못하고 그대로 진행한 것이 잘못 진행하였던 것이다.


그 동안 한번도 알바(길을 잘못 들다)를 하지 않았는데!! 산대장님의 빈자리가 새삼 크게 느껴진다. 7시 30분경, 마구령(馬駒嶺, 810m) 고개에서 비닐 천막을 치고 라면을 끓여 아침식사를 하였다. 다른 산객들도 아침 식사를 하는지 분주한데, 우리는 서둘러 갈곶산으로 진행한다. 급하게 오르막을 치고 올라 1057봉을 넘어 당도한 곳이 봉황산 갈림길인 갈곶산 정상이다. 갈곶산(966m)에서 동으로 이어지던 능선이 방향을 바꾸는데, 반대쪽 지능선으로는 봉황산(819m), 봉황산 기슭에 우리나라 목조건물의 진수를 보여주는 ‘무량수전’이 있는 부석사(浮石寺)가 있다. 갈곶산에서 늦은목이까지 1㎞는 완만한 경사이고, 숲 좌우에는 낙엽송과 금강송이  울울창창 하늘을 향해 솟아있어 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벅차다.


늦은목이(800m)에서 선달산(1,236m)까지의 표고차는 436m로 정상까지 1.9㎞는 계속되는 오르막이다. 너무 힘이 드는 길이라 발끝만 보고 걷다가도 고개를 들어 하늘을 올려다보면 눈물이 쏟아질 것같은 푸름에  ‘이제는 다 왔구나’ 하기도 한다. 아무리 힘이 들어도 거울처럼 맑은 하늘을 실컷 보고나면 왠지 모르게 나의 모든 것들이 정화되는 것같은 느낌이 든다. 나도 어느새 산꾼이 되어 가는 것일까? 11시 30분경, 드디어 해발 1,236m의 선달산에 도착하였다. 선달산에서 박달령(970m)까지 5㎞는 완만한 내리막 길이 이어져 오후 1시에 박달령에 도착하였다, 박달령에는 대형헬기장과 집체만한 표지석이 서있고, 산령각에서 매년 사월초파일에 제를 지낸다고 한다. 옥돌봉(1,244m)까지 3㎞는 완만한 오르막 길이더니, 나중에는 밧줄을 잡고 올라가야 될 정도로 가파른 오르막이 다시 나온다. 이미 지칠대로 지친 무릎은 펴지지 않고, ‘나 더 이상 못가’라는 소리가 절로 나올 즈음 주실령 삼거리가 나온다.


주실령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280m를 진행하니 옥돌은 간데없고, 화강암바위 사이에 ‘봉화산악회’에서 세운 정상석만이 우리를 맞이한다. 옥돌봉에서 도래기재를 향하는2.7㎞는 진달래와 철쭉이 숲이 우거진 사이사이로 금강송도 보이고, 잣나무 조림지도 눈에 들어온다. 산에서 봄을 만나니 향기로운 생각이 들어 잠시 피로를 잊는다. 일행들과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보니 어느새 도래기재가 눈 아래 보인다. 오후 4시경, 진행방향 우측에 동물 이동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도래기재에 도착했다. 아무 사고없이 31번째 대간산행을 마무리하는 순간이다. 산을 내려오니 봄이 내 옆으로와 있음을 느낀다.

 

 

▲ 간식

▲ 동물의 이동상황 등을 확인하는 생태계조사 장비

▲ 마구령

▲ 경기도 이천에서 온 대간팀이 비닐천막을 치고 라면 등을 끓이고 있음

▲ 봉황산 갈림길로 갈곳산 정상임

진행방향 우측으로는 '오전약수'가 있는 물야면 오전리 생달마을, 진행방향인 선달산까지는 1.9㎞, 지나온 갈곶산까지는 1.0㎞라는 표시목이 설치되어 있는 해발 800m의 늦은목이재

▲ 선달산 정상석 누군가가 4,126미터로 표기해 놓음

▲ 소백산 비로봉

▲ 소주를 곁들인 점심만찬

▲ 경첩이 지나고 춘분이 다가오는데, 이곳의 봄은 언제일런지??

▲ 필봉님 부부,, 나이 60 넘어 그것도 부부가 한번도 빠지지 않고 대간 종주한 사람있으면 나와봐 바,,,

▲ 박달령

▲ 2006. 10. 18. 산림청에서 설치한 박달령 표지석

▲ 봉화산악회에서 세워놓은 옥돌봉 정상석

▲ 550년 된 철쭉

▲ 함양군 병곡면에 괘관산에 있는 1,000년된 철쭉

▲ 두달 쯤 되면 이렇게 철쭉이 피었을 텐데,,,,

▲ 만개한 진달래를 생각하며 터널도 지나고,,

▲ 도래기재

▲ 무릎에 열을 식힌다고,,, 궁둥이 까고 식히면 더 좋을 걸 ㅋㅋ

▲ 다음 구간 진입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