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2011.12. 17. ~ 2013. 5.4

16번째 구간(은티마을-지름티재-희양산-이만봉-백화산-황학산-안말)

하진수 하진수 2013. 5. 7. 23:26

 

 2013. 1. 5. 울산 원조산악회 백두대간 5기

산행시간: 08:20-17:00(8시간 40분)

날씨: 맑음, 영하 17도~영하7도

함께한 사람: 17명

구간: 은티마을-(3㎞)-지름티재-(0.9km)-희양산삼거리-(0.5km)-희양산-(0.5km)-희양산삼거리-(1.7km)-배너미재-(2.2km)-이만봉-(0.5km)-곰틀봉-(0.6km)-사다리재-(2.6km)-평전치-(1.1km)-백화산-(1.8km)-황학산-(3.2km)-안말부락

산행거리: 18.5㎞{접속거리 7.1㎞(은티마을-지름티재, 악휘봉삼거리-악휘봉, 황학산-안말)}

■ 구간특색

- 산행 들머리 : 은티마을 주차장

- 은티마을에서 지름티재까지 접속함

- 지름티재 우측으로는 봉암사(절) 가는 길이 있음

- 희양산 직전 급경사 암릉으로 밧줄이 여려개 설치되어 있음, 밧줄은 매듭마다 얼음투성이이고, 암름 위 에는 얼음과 눈으로 미끄럽기 그지 없음, 팔힘이 약한 분들 특히 주의 필요함

- 밧줄구간이 끝나면 희양산삼거리, 백두대간길은 좌측 내리막으로 진행함.

- 희양산삼거리에서 희양산 정상(백운대)은 우측 오르막으로 진행, 왕복 30분 가량 소요, 정상 밑은 봉암사가 보이고 남쪽으로는 속리산, 우측은 월악산 등이 보일 정도로 조망이 좋은 곳임

- 희양산 삼거리에서 배너미재 사이 희양산성 성터가 있고 여러개의 봉우리를 지나게 됨

- 배너미재 삼거리에서 좌측은 은티마을 하산길 있음

- 배너미재에서 평전치까지 여러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를 오르락내리락 하여야 함

- 곰틀봉에는 정상석이 없고, 죽은 소나무에 누군가가 “곰틀봉”이라는 글씨를 조각해 놓았음

- 이만봉에는 괴산군에서 정상석을 설치해 놓음

- 곰틀봉을 내려오면 사다리재 안부로 좌측으로 ‘분지리 안말’ 하산길 있음

- 평전치에도 나무에 방향 표지판을 걸어두었고, 좌측으로 안말 하산길 있음, 후미팀은 평전치에서 하산을 하였음

- 백화산 정상은 막힘이 없으며, 정상 옆에 넓은 헬기장 있음

- 백화산 정상을 내려오자마자 만나는 옥녀봉 삼거리에서 독도에 주의(대간길은 좌측방향임)

- 옥녀봉 삼거리에서 황학산까지는 능선이 매우 유순함.

- 황학산에서 선두들은 안말로 하산함

- 구간내 식수를 보충할 장소는 없음

 백두대간 16구간

2013년(계사년, 뱀띠) 새해 첫 산행. 그동안 몸이 좋지 않아서 쉬었던 일행도 참가하고 새해 새기분으로 인사를 나누었다. 과연 겨울답게 추운 아침이다. 지난 마지막 산행지인 은티마을 주차장에서 기념찰영을 하고 새해 첫 산행을 가볍게 시작한다. 올 겨울 사상 유래없는 강추위로 삼라만상이 온통 눈으로 뒤덮여 있고, 녹지 않은 눈은 다져져서 산객들의 발걸음을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약 1시간(09:30경)을 걸어서 백두대간 능선길인 지름티재에 도착하였다. 지름티재는 오른쪽은 구왕산 쪽이고 왼쪽이 희양산 방향이다.  직진하면 봉암사, 연풍에서 가은으로 가는 길로, 몇년전만 해도 스님들이 봉암사 가는 길을 통제하였다는데 지금은 통제하지 않는다.

지름티재에서 희양산 구간은 짧지만 암벽으로 경사가 급해 위험하다. 밧줄을 여러가닥으로 중간중간 설치해 놓았으나, 급경사에 암벽을 타고 내린 물은 빙판이다. 그 위에 눈이 쌓여있어 아이젠도 효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길이다. 밧줄을 잡고 열심히 밀고 당기며 올라가다보면 미끄러지기 일쑤이고, 암벽타기 선수도 손이 얼어 마비증세로 한참을 쉬기를 반복하며 간신히 희양산 삼거리에 도착했다. 희양산(998m) 정상 앞으로 석가탄신일에만 산문을 개방한다는 ‘봉암사’ 의 경내가 보인다. 한국 불교의 성지이자, 달마도사의 선맥을 이어 온 구산선문중 하나인 희양산문의 종찰이라고 한다.

희양산에서 시산제를 올렸다. 시산제는 정초에 첫달에 지낸다고 하여 일행이 준비해온 떡과 막걸리, 과일 등을 펴놓고 올 한해 무탈하게 산행할 수있게 해 달라고 산신령께 기원을 드린다. 神의 보살핌이 없으면 산문은 결코 우리에게 열리지 않겠지. 

다시 삼거리길로 내려와 배너미재로 향한다. 옛 성터(희양산산성)의 돌담길을 따라 작은 봉우리를 수차례 오르내린 끝에 드디어 도착한 곳이 배너미재이다.  충북 괴산군 연풍면 분지리 이만봉, 백화산, 황학산이 있는 말발굽 형태의 능선길이다. 약 4시간을 걸어서 시루봉 (964봉)에 도착하여 늦은 점심으로 허기를 채운다. 오늘 산행은 눈길이라 잠시 쉴틈도 없이 길을 재촉한다. 보이는 것은 새하얀 솜털처럼 내려앉은 산등성이의 눈이다. 파란 하늘에 썩 어울리는 조화로운 풍경을 눈이 시리도록 바라보는 축복을 얻는다.

이만봉에 도착하기전 일행이 다리에 쥐가 나서 걷기가 힘든다고 한다.(스틱 두개 중에 하나가 고장이 났다네) 실은 나도 왼쪽 다리가 쥐가 났는지 무척 아프다.  서로를 의지하며 격려하면서 천천히 가자고 주문을 하고 걷는데, 아뿔싸 다른이가 쓰러진다. 바위틈새에 다리가 끼여 넘어지면서 스틱도 부러지고 발목을 삐었단다. 고난의 행군이다.

오후 4시경, 평천치에서 후미를 맡고 있던 일행이 “밤 8시 넘어야 이화령에 도착할 것인데, 이쯤에서 하산하고 다음을 기약하자”고 한다. 그렇다 최선을 다하여 여기까지 왔지만 무리를 해가면서까지 종주를 고집할 필요는 없지 않는가. 평천치에서 하산하여 안말에 도착하니 설여사님과 채운님이 마중을 나왔다. 기꺼이 준비해온 과메기에 각종 야채를 곁들여 박달산 막걸리로 지친 몸과 마음의 피로를 씻어낸다. 눈길 산행이 고달팠지만 지나고보면 아름다운 백두대간길이었음을 기억한다. 눈덮힌 산야는 이때가 아니면 볼 수 없는 비경이다.


 

 

 

▲ 은티마을 주차장에서

 

 

 

 

▲ 돌무지 대장님 찰영

 

 

▲ 지름티재

 

▲ 지름티재에서 기념찰영

 

▲ 뒤에 구왕봉이 보이고

 

 

▲ 나무가 바위를 받히고 있고~~

 

▲ 희양산 삼거리 직전

 

 

 

▲ 언제나 씩씩한 조규암님

 

 

 

 

 

▲ 계속 이어지는 밧줄코스~~

 

 

▲ 팔에 힘이 빠져 미끄려져 내러가는 것을 석도님이 찰영

 

▲ 눈이 없을때 찰영한 다른 분들의 사진과 비교도 해보고~

 

 

▲ 대야산과 저멀리 속리산 능선이 아스라이 보이고~~

 

▲ 봉암사

봉암사는 마지막으로 남은 청정 수행 도량으로 신라 헌강왕 5년(879년)에 창건되었고 해방 직후인 1947년 성철, 청담, 자운스님 등이 불교개혁운동인 결사(結社)를 추진하여 “부처의 법대로만 살아보자”며 용맹정진한 곳이다. 이때부터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동안 먹지도 않는다(一日不作 一日不食)’는 것이 기본 수칙이 됐다

결사에 참가했던 20여 명의 스님 중에서 조계종 종정이 네 명(성철·청담·혜암·법전), 총무원장이 여섯 명(청담·월산·자운·성수·지관·법전)이나 나왔다

1982년부터는 수행에만 정진할 수 있도록 봉암사는 물론 일대 사찰림의 일반인 출입을 금했다. 일년에 딱 한 번 부처님 오신 날만 산문을 여는 ‘비밀 수도원’이 됐으며, 2002년에는 봉암사 일대 2,293㏊가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지정됐다

 

▲ 봉암사

▲ 멀리에서 바라본 희양산

 

 

▲ 맑은누리님이 가져오신 막걸리와 떡으로 즉석에서 시산제를

 

▲ 대장님이 산신령님께 무탈 산행을 고하고

 

▲ 늑대님이 돼지머리를 자처하는 센쓰~~

 

 

▲ 전망이 가장 좋다는 말잔등바위에서

 

▲ 걸어서 하늘까지

 

▲ 맑은누리님, 아이젠을 착용하지 않고 끝까지 종주를

 

 

 

▲ 희양산성

해발 928 미터 지점에 쌓은 성으로 후삼국 시절 신라에서 후백제를 방어하기 위한 수성이다. 희양산은 삼면이 층층절병으로 오직 오를수 있는 곳은 괴산군 연풍면 방향뿐이기에 1~2~3미터만 쌓아도 오르기가 쉽지가 않았을 것이다.

 

 

 

 

▲ 눈덮인 능선길

 

 

▲ 964봉에서 점심을

 

 

 

▲ 안말 부락

 

▲ 해발 990미터의 이만봉,

 

▲ 설화님과 장미님

 

▲ 돌고래님

 

▲ 알바대장 전승훈님

 

 

▲ 곰틀봉에서

 

▲ 힘은 다 빠졌는데, 가야할 백화산은 까마득하고~~

 

 

 

 

▲ 평천치, 후미팀은 여기서 안말로

 

 

 

 

▲ 필봉 사모님

 

▲ 마중나온 설여사님과 채운님

 

▲ 채운님이 준비하신 과메기

 

▲ 필봉님이 준비하신 저녁

필봉님과 채운님 감사드립니다.